Tuesday, December 8, 2015

전형적인 금속 성질을 알기 수백년 동안의 물리학자들의 노력

During the last hundred years physicists have tried to construct simple models of the metallic state that account in a qualitative and even quantititive way for the charateristic metallic properties.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charateristic [ker(ə)ktəˈristik]: typical of a particular person, place, or thing. -> 특별한 사람이나 장소 또는 어떤 것의 전형성을 가진

지난 수백년 동안 물리학자들은 전형적인 금속 특징을 위해서 질적인 심지어 양적인 방법으로 설명하는 금속 상태의 간단한 모델을 설계하려고 시도했다.

금성 성질을 알기 위해서 협력해서 얻은 훌륭한 결과들

In the course of this search brilliant successes have appeared hand in hand with apparently hopeless failures time and again.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time and again  : Again and again; repeatedly. -> 반복해서
apparently [ə|pӕrəntli]: adverb 1. (sentence modifier) it appears that; as far as one knows; seemingly -> 네이버 사전으로는 '보아 하니', '듣자 하니'라는 뜻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의미는 아닌 것 같아서 다른 곳에서 찾아보니, British Dictionary 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 수식어) 그렇게 보이는 것 같다.; 누군가 알고 있는 한 -> 어떻게 보면 네이버의 뜻과 비슷한 것 같네요.

이런 추구 가운데에서, 반복해서 희망없는 실패처럼 보이는 결과들만 나오는 가운데서 협력으로 이뤄진 훌륭한 결과들이 나왔다.

Monday, December 7, 2015

19세기 후반부터 고체 이론에 두드러진 역할을 해오고 잇는 금속

Although the majority of commonly encountered solids are nonmetallic, metals have continued to play a prominent role in the theory of solids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일반적으로 접하고 있는 고체들 다수가 비금속이지만, 금속은 19세기 후반부터 현대까지 고체 이론에 두드러진 역할을 해 왔다.

갑자기 금속의 역사가 궁금해지네요.

Thursday, December 3, 2015

비금속을 이해하기 위한 금속에 대한 선수 이해 - 전도(conduct)성의 유무

Even to understand nonmetals one must also understand metals, for in explaining why copper conducts so well, one begins to learn why common salt does not.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conduct에 대한 단어에 대해서 영영 사전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동사로도 쓰이도 명사로도 쓰이는 단어입니다. 명사일 때와 동사일 때의 발음이 다르게 쓰이기도 하나 봅니다. 여러가지 뜻이 있는데, 영어로 된 설명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conduct(Verb [kən|dʌkt], Noun[|kɑ:ndʌkt]):
If something conducts heat or electricity, it allows heat or electricity to pass through it or along it. -> 만약 뭔가가 열이나 전기를 conduct한다면, 열이나 전기를 그것을 관통해서 또는 그것을 따라서 지나가도록 한다. -> 전도하다
When you conduct an activity or task, you organize it and carry it out. -> 어떤 활동이나 일을 conduct할때, 당신은 그것을(어떤 활동이나 일) 정리하고 수행한다. -> 특정한 활동이나 일을 하다.
If you conduct yourself in a particular way, you behave in that way.
만약 당신이 특별한 방법으로 당신 스스로를 conduct한다면, 당신은 그 방법대로 행동한다. -> 행동하다, 처신하다.
When someone conducts an orchestra or choir, they stand in front of it and direct its performance.
누군가가 오케스트라나 합창단을 conduct할 때, 그것 앞에 서서 연주를 감독한다. -> 지휘하다.
The conduct of a task or activity is the way in which it is organized and carried out.
어떤 일이나 활동의 conduct는 정리해서 실행하는 방법이다. -> 수행, 처리, 경영
Someone's conduct is the way they behave in particular situations.
누군가의 conduct는 특별한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법이다. -> 처신, 행동

이 중에서 두말 할 것없이 위 문장에서 의미하는 뜻은 '전도하다'라는 뜻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전도에 관한 물리적인 개념이 conductivity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보통 물리를 공부하면서 두가지 종류의 conductivity를 자주 접했는데, '전기 전도성'이랑 '열 전도성'입니다. 영어로는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키피디아에서 conductivity에 대해서 검색을 해 보니 여러가지 conductivity가 있네요.

여기에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Electrical conductivity, a measure of a material's ability to conduct an electric current
전기적인 전도성이란 전기적인 흐름을 전도하는 물질의 능력 정도.
2) Conductivity (electrolytic), also the specific conductance, is a measurement of the electrical conductance per unit distance in an electrolytic or aqueous solution
전도성 또는 특정한 전도도란, 전해질 또는 수분을 포함한 용액에서 단위 길이당 전기적인 전도도의 양을 말한다.
  electrolytic [ilèktrəlítik]: (1) of, concerned with, or produced by electrolysis or electrodeposition -> 전기분해나 전착으로 만들어진, 또는 그와 관련된
    electrolysis [ɪ|lek|trɑ:ləsɪs] [ɪ|lek|trɒləsɪs]: Electrolysis is the process of passing an electric current through a substance in order to produce chemical changes in the substance. -> electrolysis란 물질 안에서 화학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그 물질을 통해 전기적인 전류가 지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 전기 분해 과정
    electrodeposition [ilèktroudèpəzíʃən] -> 네이버에서는 화학 전문 용어로 '전착', '전해 석출'이라고만 적어놓고 있습니다. 용어가 어려워 구글링해 본 결과 electodeposition의 정의를 설명해 놓은 정보를 찾았습니다. www.eng.utah.edu 에서 정리해서 올려 놓은 자료인데 링크를 아래에 적어 둡니다.
      https://www.google.com/url?sa=t&rct=j&q=&esrc=s&source=web&cd=2&cad=rja&uact=8&ved=0ahUKEwj_3J2by8PJAhVMRCYKHfASBE0QFggnMAE&url=http%3A%2F%2Fwww.eng.utah.edu%2F~gale%2Fmems%2FLecture%252012%2520Electrodeposition.pdf&usg=AFQjCNGhCmnxgfEJ3xrv0wnAhGukq3XOhg&sig2=JwyyXuEJ2ADkv7YWckA9pA&bvm=bv.108538919,d.eWE
여기서 말하길,
      Electro deposition is the process of coating a thin layer of one metal on top of a different metal to modify its surface properties. -> electro deposition은 표면 속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금속 위에 다른 금속을 얇게 코팅해서 층을 만드는 과정이다.
      어떤 금속 위에 또 다른 금속으로 박막 금속층을 만드는 과정을 electro deposition 이라고 이해됩니다.
  electrolytic [ilèktrəlítik]: (2) of, relating to, or containing an electrolyte -> 전해액을 포함하고 있는, 또는 그와 관련된 -> 전해질의
    electrolyte [ɪ|lektrəlaɪt]: An electrolyte is a substance, usually a liquid, which electricity can pass through. -> electrolyte는 어떤 물질을 말하는 용어로 보통 액체 상태이고 전기가 통할 수 있다. -> 전해액
  electrolytic [ilèktrəlítik]: (3) Also called : electrolytic capacitor a small capacitor consisting of two electrodes separated by an electrolyte -> electrolytic capacitor라고도 불리는데, 전해액으로 분리된 두 전극으로 구성하고 있는 작은 축전기이다.
    electrode [ɪ|lektroʊd] [ɪ|lektrəʊd]: An electrode is a small piece of metal or other substance that is used to take an electric current to or from a source of power, a piece of equipment, or a living body. -> electrode는 어떤 작은 조각의 금속이기도 하고, 어떤 다른 물질을 말하기도 하는데, 생체(살아있는 몸), 어떤 장비 부품, 전력의 원천에서 출발하거나 도달하는 전기적인 전류를 가지곤 하는 물질을 가르키기도 한다. -> 전극
  aqueous [|eɪkwiəs]: In chemistry, an aqueous solution or cream has water as its base. -> 화학분야에서, aqueous 용액이나 크림은 그 물질 자체를 기반으로 물을 가지고 있다. - 수분을 함유한, 물과 같은
  conductance [kən|dʌktəns]: symbol G the ability of a system to conduct electricity,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ystem to the potential difference across it; the reciprocal of resistance. It is measured in reciprocal ohms, mhos, or siemens-> G라는 기호가 이 개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전기를 전도하는 시스템의 능력을 말한다. 이 능력은 시스템을 가르지르면서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에 대한 시스템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 비율로 측정된다. 즉 저항의 역수이다. 옴단위의 역수로 측정되거나 모나 지멘스의 단위의 역수이다.  -> 전기나 열의 전도도

3) Ionic conductivity, a measure of the conductivity through ionic charge carriers
이돈 전도도, 이온 전하 캐리어를 대한 전도도의 양
4) Hydraulic conductivity, a property of a porous material's ability to transmit water
porous [|pɔ:rəs]:  Something that is porous has many small holes in it, which water and air can pass through. -> porous한 뭔가는 그 안에 물과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다. -> 구멍이 많은 투과성 또는 다공성을 가진
수압 전도도, 물을 전송하는 다공성 물질 능력의 속성
5) Thermal conductivity, the intensive property of a material that indicates its ability to conduct heat
열적 전도도, 열을 전도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어떤 물질의 집약적인 속성이다.
6) Rayleigh conductivity, describing the behavior of apertures concerning the flow of a liquid or gas
aperture  [|ӕpətʃə(r)][|ӕpətʃʊr]: An aperture is a narrow hole or gap. -> aperture이란 좁은 구멍이나 좁은 간격을 말한다. -> 작은 구멍
In photography, the aperture of a camera is the size of the hole through which light passes to reach the film. -> 사진술에서 카메라의 aperture은 빛이 필름에 도달하도록 지나가는 구멍의 크기를 말한다. -> 조리개
레일리 전도도, 액체나 기체의 흐름과 관련된 작은 구멍들의 행동을 묘사하는 것이다.

레일리 전도도가 생소하네요. 다음에 좀 더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지어 비금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금속을 이해해야한다. 왜냐하면 왜 구리가 전도가 그렇게 잘 되는지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일반적인 소금은 왜 전도성이 좋지 않은지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 문장에서는 금속의 특징 중 하나가 전도성(conductivity)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 전도성이 익숙한 현상이면서 익숙한 개념인데, 금속, 비금속을 논의할 때 대표되는 속성임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소금이 화학기호가 NaCl(염화나트륨)인데, Na 나트륨이 금속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일반소금은 전도성이 좋지 않을까요?




metallic state - the great fundamental states of matter

Indeed, the metallic state has proved to be one of the great fundamental states of matter. The elements, for example, definitely favor the metallic state: over two thirds are metals.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실제로, 금속 상태는 물질에서 굉장히 근본적이 상태를 가지고 있는 물질중 하나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그런 원소들, 즉 근본적인 상태를 가지고 있는 가지고 있는 물질들은 확실히 금속 상태를 편애한다. 3분의 2 이상이 금속이다.

great fundamental states 라고 설명했는데, 어떤 근본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인지 애매하네요. fundamental states에서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물질의 3가지 상태입니다. 물질의 고체상태, 액체상태, 기체상태. 이 세가지 근본 상태가 아니 다른 개념의 상태를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에 great라고 붙인걸 봐서는 정말 특별함이 있는 상태를 말하는 듯하네요.
The elements는 앞 문장에 있는 그것과 동일하게 해석하였습니다. the elements = the matters having great fundamental states 이렇게 두었습니다. 생각할 수록 great fundamental states가 무엇인지 궁금해 집니다.

favor은 생활영어에서 'Can you do me a favor?(저에게 호의를 베풀어 줄 수 있나요?, 부탁하나 들어 줄 수 있나요?)'라고 많이 쓰는 '호의, 부탁'라는 뜻으로 많이 받아들이는데, 여기서는 동사로 쓰이면서 '편애하다, 더 좋아하다'라는 뜻을 적용하였습니다.

하여튼 금속이 정말 고체 연구에서 떼놓을 수 없다라는 인식이 생깁니다.

Wednesday, October 21, 2015

금속 연구 : 현대 고체 이론의 원동력

The challenge of accounting for these metallic features gave the starting impetus to the modern theory of solids.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

account for something : to explain how or why something happened; to be the explanation for something -> 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어떻게 일어났는지 설명하다; 뭔가를 위해서 설명이되다.
impetus [|ɪmpɪtəs]: Something that gives a process impetus or an impetus makes it happen or progress more quickly. -> 처리 impetus나 어떤 impetus를 주는 뭔가는 더 빨리 일어나게하고 진행시킨다. -> 추진력, 추동력(推動力,밀 추-움직일 동-힘 력)[밀어서 움직이는 힘-어떤 일을 추진하기 위해서 고무시키고 격려하는 힘]
이러한 금속 특징들을 설명하는 시도는 현대 고체 이론을 시작하는 추동력을 제공해 주었다.

저자는 금속연구가 고체연구에 있으서 중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도 눈에 띄는 금속 특징을 연구하면서 고체이론을 정립해 나가는 계기가 된 듯합니다. 앞으로 금속 특징의 이론적인 설명이 전개 될 것 같습니다.

영어 표현에서 'account for'가 '설명하다'라는 숙어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explain으로 바꿔쓸 수 있을 것 같네요. the challenge of explaining these metallic features~.

impetus 가 구글 검색 사전으로는 이렇게 설명되어 있네요.
the force or energy with which a body moves. -> 몸체를 움직이게하는 힘이나 에너지
the force that makes something happen or happen more quickly. -> 뭔가가 일어나게 하거나 더 빨리 발생하도록하는 힘
이런 뜻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역시 한글로 표현하면 추진력, 추동력이 가까운 뜻으로 여겨집니다. 원동력이라는 말이 더 친숙하네요.
1970, 1980년대에 많이 쓰이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사용빈도가 줄어드는 추세라고 합니다.

The Charater of Metal - 금속의 특징

Ashcroft Mermin 고체 역학에서 표현된 금속 특징에 대한 짧은 문장입니다.

They are excellent conductors of heat and electricity.
are ductile and malleable. and display a striking luster on freshly exposed surfaces.

어려운 영어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ductile [|dʌktaɪl]: (of a metal, such as gold or copper) able to be drawn out into wire -> 금과 구리와 같은 금속에서 선으로 늘릴 수 있는 -> 연성인

malleable [|mӕliəbl]: If you say that someone is malleable, you mean that they are easily influenced or controlled by other people. -> 만약 당신이 누군가가 malleable하다면, 당신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거나 통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영향을 잘 받는, 잘 변하는
A substance that is malleable is soft and can easily be made into different shapes. -> malleable한 한 물체는 부드럽고 쉽게 다른 형태로 변할 수 있다. -> 가단성이 있는


luster [lʌ́stər]: 광택, 빛남



freshly [|freʃli]: If something is freshly made or done, it has been recently made or done. -> 만약 뭔가가 freshly하게 만들어지거나 일이 이루어 졌다면, 그것은 최근에 만들어지거나 이뤄졌다. -> 막 ~한

금속은 훌륭한 열전도체 그리고 전기전도체이다. 또한 연성이 있고 가단성이 있다. 또한 갓 노출된 표면에서 눈에 띄게 광택을 보인다.